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전기자전거 vs 자동차 신호 위반 사고, 과실은 어떻게 결정될까?

by 추천생일선물 2025. 4. 15.
반응형

🚦 

"신호등이 노랑에서 빨강으로 바뀌는 순간, 차량이 달려들었어요.
저는 파란불이 되자마자 전기자전거로 건넜는데… 이게 다 제 잘못인가요?"


🔥 핵심 결론 먼저

  1. 차량 측 기본 과실 70%~90% (황색→적색 신호 위반)
  2. 전기자전거 측 과실 10%~30% (신호 즉시 출발·안전확인 미흡)
  3. 병원비는 상대방 보험사에서 우선 처리 (본인 과실 %만 후불)

📌 사고 상황 재구성 & 법적 쟁점

▶ 시간축

  • T0: 차량이 황색 신호에 진입
  • T1: 신호 적색 전환 & 보행자 신호 청색 동시 점등
  • T2: 전기자전거가 즉시 건너기 시작 → 충돌

▶ 쟁점 1: 차량의 신호 위반 여부

  • 도로교통법 제5조: 황색 신호 시 정지선 앞에서 멈춤 의무
  • 적색 신호 진입 시 100% 과실 (과속 추가 시 가중)

▶ 쟁점 2: 전기자전거의 법적 지위

  • 15km/h 미만: 일반 자전거 = 보행자 신호 준수
  • 25km/h 이상: 원동기장치자전거 = 차량 신호 적용
  • 속도 미확인 시 대법원 판례: "보행자 신호 준수 자전거로 추정"

💼 과실 비율 산정 기준 (보험사 내부 매뉴얼)

요소 차량 전기자전거
신호 위반 70% 0%
과속 (50km/h↑) +15% -
안전운전 의무 위반 - 20%
보행자 보호의무 소홀 +10% -
음주 여부 상황별 가중 상황별 가중

▷ 예시 계산

  • 차량: 기본 70% + 과속 15% = 85%
  • 전기자전거: 안전확인 미흡 20% = 20%
  • 최종 과실: 85% : 15%

🚑 치료비 부담 원리 (꼭 알아야 할 3가지)

  1. 1차 청구: 상대방 보험사에 전액 요구 가능
    • "선불 후 정산" 원칙 (교통사고특례)
  2. 과실 % 적용: 합의 시 본인 부담분 공제
    • 예: 300만 원 치료비 × 20% 과실 = 60만 원 반환
  3. 중과실(50%↑) 특례: 본인 부담 없음 (2023년 개정안)

💡 실전 팁
"보험사에 '선처리 약정서' 제출 → 본인 부담금 후결제 가능"


⚖️ 현장에서 반드시 해야 할 5가지

  1. 경찰 신고 필수 (도로교통법 54조 2항)
    • 사고 후 3일 이내 미신고 시 30만 원 과태료
  2. CCTV 확보 (편의점·아파트 등)
    • 신호등 변화 타이밍 결정적 증거
  3. 전기자전거 속도 기록 (네비게이션 앱 로그)
  4. 목격자 연락처 수집
  5. 보험사에 즉시 통보 (사고일로부터 3일 이내)

🚨 절대 하지 말아야 할 실수

  • 합의서 즉시 서명: "과실 인정" 조항 숨겨진 경우 많음
  • SNS 증거 삭제: 현장 사진·영상 백업 필수
  • 보험사와 직접 협상: 전문가(손해사정사) 동행 권장

📈 전문가 협상 전략

  1. 차량 측 과실 증대 요소 강조
    • 신호 변경 타이밍 (황→적 경과 시간)
    • 제동거리 계산을 통한 과속 입증
  2. 전기자전거 측 감경 요소
    • 보행자 신호 준수
    • 헬멧·안장 높이 등 안전장구 착용
  3. 유사 판례 제시
    • 2022년 대법원: "신호 전환 직후 사고 시 보행자 우선권 인정"

💰 최종 합의금 산정 공식

(치료비 + 휴업손해 + 위자료) × (1 - 본인 과실 %)  
  • 휴업손해: 월평균 소득 × 치료 기간
  • 위자료: 중상 5001,000만 원, 경상 200500만 원

🌟 사고 후 7일 액션 플랜

D-Day: 경찰신고 → 병원진단서 → 보험사통보
D+1: CCTV 확보 요청 (관할 지구대)
D+3: 손해사정사 선임 (무료 상담 활용)
D+5: 치료비 예상 청구액 산출
D+7: 보험사와 1차 협상 개시


이 가이드라면 첫 교통사고도 침착하게 대처할 수 있습니다.
현장에서 당황하지 말고 단계별로 차근차근 해결해보세요! 🚸

반응형